1] 컴퓨터가 이해하는 두 가지 정보
- 데이터
0과 1로 이루어진 숫자, 문자,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적인 정보
컴퓨터와 주고받는/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데이터라 통칭함
- 명령어
컴퓨터는 결국 명령어를 처리하는 기계이며
명령어는 컴퓨터를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정보, 데이터는 명령어를 위한 일종의 재료이다
2]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과 메인보드 그리고 시스템 버스
(1) 메모리: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프로세스)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메모리는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값의 위치는 주소로 알 수 있다
(2) CPU: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부품
ALU, 레지스터, 제어장치로 구성됨
ALU: 계산기
레지스터: CPU 내부의 작은 저장 장치, 임시 저장 장치
제어장치: 제어 신호(컴퓨터 부품들을 관리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신호, ex. 메모리 읽기, 메모리 쓰기)를 발생시키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장치
(3) 보조기억장치
메모리는 실행할 정보를 저장하는 반면,
보조기억장치는 보관할 정보를 저장한다
(4) 입출력장치: 컴퓨터 외부에 연결되어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부품
보조기억장치 vs. 입출력장치
확실히 구분되는 개념은 아니며, 주변장치(peripheral device)라 통칭하기도 한다
다만, 보조기억장치는 메모리를 보조하는 특별한 입출력장치이다
(5) 메인보드
메인보드에 연결된 부품은 버스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음
버스는 컴퓨터의 부품끼리 정보를 주고받는 일종의 통로이며
다양한 종류의 버스가 있지만, 컴퓨터의 핵심 부품을 연결하는 버스는 시스템 버스라고 부른다
(6) 시스템 버스
주소 버스: 주소를 주고받는 통로
데이터 버스: 명령어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로
제어 버스: 제어 신호를 주고받는 통로
'CS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 CPU의 성능 향상 기법: 코어와 스레드 (0) | 2023.03.31 |
---|---|
4-3] CPU의 작동원리: 명령어 사이클과 인터럽트 (0) | 2023.03.31 |
4-2] CPU의 작동원리: 레지스터 (0) | 2023.03.31 |
4-1] CPU의 작동원리: ALU와 제어장치 (0) | 2023.03.31 |
3] 명령어 (0) | 2023.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