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Broadcast IP주소
L3 IP Packet의 Host ID가 1111로 구성되어 있다면 Broadcast가 활성화된다
ex. 192.168.0.255 (= 1100 0000 / 1010 1000 / 0000 0000 / 1111 1111)
그리고 활성화된 Packet의 MAC 주소에도 FF가 포함되어 있다
Broadcast는 효율이 떨어지고 네트워크 장비(ex. Distribution Switch)의 부하가 발생하기에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Broadcast의 범위를 지정하기도 한다
Multicast는 Broadcast 처럼 전체에게 전달하지만,
전달받을 것들을 그룹화한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추가적으로,
네트워크에서 쓸 수 없는 IP 주소로는
1_ Host ID가 0인 경우 0000 0000
Subnet Mask와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2_ Host ID가 255인 경우 1111 1111
Broadcast를 의미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3_ Gateway의 Host ID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Host ID를 8비트로 사용할 때 나오는 경우의 수는
256가지 - 0 - 255 - Gateway = 253가지
9) Host 자신을 가리키는 IP 주소를 통한 IPC 통신
자신의 Process 간에 통신을 하는 경우,
자신이 자신의 IP에 접속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런 경우에 Loop back Address라고 불리는 "127.0.0.X"를 사용하며
X에는 대부분 1이 온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프로세스 간에 통신을 하게 되면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라고 부르며
위 그림처럼 기존의 IP 주소인 192.168.0.10 으로 통신을 하게 되면
기존의 IP 주소가 변경되었을 경우, 잘못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127.0.0.1 (Loop back Address)를 통해 L1~L2까지 내려가지 않고
L3 단계에서 IPC가 이루어 진다
'CS > [널널한 개발자]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 L4 수준에서 외울 것들 - TCP, UDP 개요 (0) | 2023.06.19 |
---|---|
3-5] L3 수준에서 외울 것들 - TTL, 단편화, DHCP, ARP, Ping (0) | 2023.06.19 |
3-3] L3 수준에서 외울 것들 - IP 헤더형식, 서브넷 마스크와 CIDR (0) | 2023.06.17 |
3-2] L3 수준에서 외울 것들 - Packet의 이동과정과 계층별 데이터 단위 (0) | 2023.06.17 |
3-1] L3 수준에서 외울 것들 - L3 IPv4 Packet (0) | 2023.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