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패킷의 생성과 전달
Process 간 패킷의 전달 과정은 마치 택배 시스템과 유사하다
따라서,
Packet을 박스 하나라고 한다면
프로세스의 집은 Host
프로세스의 현관은 Interface
기사님은 Gateway이며
물류 허브가 Router이고
물류체계 시스템인 Routing Table에 따라 분류하고 처리하는 작업이 Routing이고
IPv4 Dst를 통해 목적지까지 이동하면
마지막으로 받는 이의 이름과 같은 Port 번호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달되는 과정과 같다
Process에서 Data를 Socket에 Send 하는데
여기서 Socket이란 Kernel에 있는 TCP/IP를 추상화한 Interface로 파일이다
이렇게 전달된 Data에 여러 헤더들이 Encapsulation되어서
최종적으로 L2 Access의 Router, Gateway를 거쳐 데이터가 전송이 된다
5) 계층별 데이터 단위
L1 ~ L2에서는 Frame
L3 IP에서는 Packet
L4 TCP에서는 Segment
L5 이상 부터는 Stream
Stream은 데이터 단위라기보다는 데이터 덩어리 그 자체를 의미한다
Packet의 최대 단위는 MTU로 대략 1500bytes
Segment의 최대 단위는 MSS(Maximum Segment Size)로 대략 1460 bytes이다
Stream은 매우 큰 단위이기에 Segment의 단위만큼 Segmentation(분할)이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UDP에서는 Datagram이라는 데이터 단위를 사용한다
'CS > [널널한 개발자]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 L3 수준에서 외울 것들 - Broadcast IP, Host IP (0) | 2023.06.17 |
---|---|
3-3] L3 수준에서 외울 것들 - IP 헤더형식, 서브넷 마스크와 CIDR (0) | 2023.06.17 |
3-1] L3 수준에서 외울 것들 - L3 IPv4 Packet (0) | 2023.06.17 |
2] L2 수준에서 외울 것들 (0) | 2023.06.14 |
1] Internet 기반 네트워크 입문 (0)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