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프로젝트 설정법
00. GIT 설치
01. GITHUB 레파지토리 생성
02. 원하는 폴더의 마우스 우클릭으로 GiT Bash를 실행
03. Git Bash 초기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깃허브 유저 네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허브 유저 이메일"
git config -- list
// 설정된 유저 이름과 이메일 확인 가능
04. Git 업로드
git init
// 처음에만 실행하면 되는 초기화
git add .
// 선택한 폴더의 모든 파일을 추가
// 특정파일만 하려면, git add 파일이름.파일형식 ex) git add h.html
git status
// add를 포함된 파일 및 상태확인
git commit -m "first commit"
// 커밋 내용 작성
05. Github 업로드 (Git과 Github 연동)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git
git push -u origin master
주소는
아래와 같이 원하는 레파지토리에 들어가서
<>Code를 클릭하면 확인 가능하다
기초 사용법
프로젝트 세팅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사용할 때는
작업 후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순서대로 사용하면서 업로드를 하면 된다
git add .
// 모든 파일 업로드
git status
// 현 상황 확인
git commit -m "second commit"
// 주석 및 히스토리 추가
git push origin master
// github로 전송
참고 문서: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충돌 해결법 및 GIT 충돌 최소화 방법 (0) | 2024.11.21 |
---|---|
GITHUB 협업 하는 방식 (0) | 2024.11.21 |
커밋 메시지 작성 방식 (0)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