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IC, L2 Frame, MAC 주소
NIC(Network Interface Card)는 흔히 LAN(Local Area Network) 카드이다
여기서 LAN은 네트워크의 규모를 의미하며
네트워크 규모는 LAN ⊂ MAN ⊂ WAN으로 분류된다
유선, 무선 NIC이 있지만 굳이 구별하지 않고 NIC이라고 할 때가 많다
Host 하나가 NIC을 여러 개 가질 수도 있다
NIC은 H/W이며 MAC 주소를 갖는다
Packet은 L3 수준에서 Internet에서의 단위이고
L2 수준에서 유통되는 데이터 단위가 Frame이다
2) L2 스위치
- L2 Access Switch
L2 Access 스위치는 End-point와 직접 연결되는 스위치이며
MAC 주소를 근거로 스위칭을 한다
호스트와 L2 Access가 정상적으로 연결이 된 상태를 Link-up
호스트와 L2 Access가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지 않는 상태를 Link-down
L2 Access와 Router(상위 계층)와의 연결 상태를 표현할 때는 Up-link
- L2 Distribution Switch
L2 Access 스위치를 위한 스위치를 의미하며
VLAN(Virual LAN)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L2 Access Switch와 L2 Distribution Switch의 예시
3) LAN과 WAN의 경계 그리고 Broadcast
- Broadcast
Broadcast와 반대되는 개념은 Unicast(콕 찝어서 한곳에 통신)
Broadcast를 하면 그 범위 내의 모든 통신은 끊기고 Broadcast만 진행되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지니 Broadcast는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고 Broadcast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
Broadcast 주소라는 매우 특별한 주소가 존재한다 (MAC, IP 모두 존재)
LAN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단위인 Frame은
Header와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Header에는 출발지(src)와 목적지(dst)의 주소로 총 2개의 주소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목적지의 48비트 모두 1로 구성되어 있는 FF-FF-FF-FF-FF-FF 라면 Broadcast
- LAN과 WAN
이해하기 쉽게 LAN은 물리적인 기준에서 네트워크의 규모를 의미하고
WAN은 논리적, 가상적인 기준에서 네트워크의 규모를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CS > [널널한 개발자]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 L3 수준에서 외울 것들 - IP 헤더형식, 서브넷 마스크와 CIDR (0) | 2023.06.17 |
---|---|
3-2] L3 수준에서 외울 것들 - Packet의 이동과정과 계층별 데이터 단위 (0) | 2023.06.17 |
3-1] L3 수준에서 외울 것들 - L3 IPv4 Packet (0) | 2023.06.17 |
1] Internet 기반 네트워크 입문 (0) | 2023.06.13 |
0] 네트워크 기초 개념과 용어 (0)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