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은 기본적으로 파스칼 케이싱이다
특히 변수 선언 시에 스네이크 케이싱을 사용하면 문제가 될 수 있다
파스칼 케이싱 vs. 스네이크 케이싱
더보기
파스칼 케이싱(Pascal Case)은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시작하여
연결된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는 방식으로 식별자를 작성하는 규칙이다
예를 들어, "MyVariableName"이나 "CalculateTotalScore"와 같은 형태이다
스네이크 케이싱(Snake Case)은 단어를 소문자로 쓰고
각 단어를 밑줄(_)로 연결하여 식별자를 작성하는 규칙이다
예를 들어, "my_variable_name"이나 "calculate_total_score"와 같은 형태이다
클래스명 접두사
템플릿 클래스는 T-
UObject 클래스를 상속받은 클래스는 U-
AActor 클래스를 상속 받은 클래스는 A-
Interface를 상속 받은 클래스는 I-
그외 구조체는 F-
함수명 접두사
함수는 대부분 동사로 시작하는 것이 올바른 네이밍이다
bool 자료형을 반환하면 함수는 Is-가 붙는다
게터와 세터는 각각 Get-, Set- 으로 작성한다
델리게이트에 바인드 되는 함수는 On- 혹은 Handle-이 붙기도 한다
매개변수명 접두사
해당 매개변수가 입력으로 사용되면 In-,
출력으로 사용되면 Out- 이 붙는다
'게임 엔진 > [코드조선] 언리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 오브젝트 기능 - CDO (0) | 2024.05.09 |
---|---|
언리얼 기초 - 언리얼 디버깅 (0) | 2024.05.08 |
언리얼 기초 - 언리얼 오브젝트 클래스 (0) | 2024.05.08 |
언리얼 기초 - 언리얼 개발 환경 및 레벨 (0) | 2024.05.08 |
언리얼 기초 - 언리얼 시스템 (0) | 2024.05.07 |